티스토리 뷰
목차

연말정산 때마다 부양가족 등록으로 스트레스받고 계신가요? 간소화서비스를 제대로 활용하면 5분 만에 모든 부양가족 정보를 한번에 등록할 수 있습니다. 지금 바로 정확한 등록 방법과 숨은 혜택까지 확인하세요.
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부양가족 등록 신청방법
국세청 홈택스에서 공인인증서로 로그인 후 연말정산 간소화 메뉴로 이동하여 부양가족 등록을 진행합니다. 매년 12월 15일부터 다음 해 1월 15일까지 신청 가능하며, 한 번 등록하면 해당 연도 전체 소득공제 자료를 자동으로 수집할 수 있습니다. 등록 완료 후 3일 정도 지나면 부양가족의 모든 소득공제 자료가 조회됩니다.



3분 완성 온라인 등록가이드
1단계: 홈택스 접속 및 로그인
국세청 홈택스(hometax.go.kr) 접속 후 공인인증서, 간편 인증, 또는 금융인증서로 로그인합니다. 모바일에서도 동일하게 진행 가능합니다.
2단계: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선택
메인 화면에서 '조회/발급' → '연말정산간소화' 메뉴를 클릭하고, '부양가족 등록/해제' 버튼을 선택합니다.
3단계: 부양가족 정보 입력
등록할 가족의 주민등록번호와 관계를 선택하고 '등록' 버튼을 클릭합니다. 배우자, 직계존속, 직계비속, 형제자매 모두 등록 가능합니다.
숨은 혜택 총정리
부양가족을 등록하면 의료비, 교육비, 신용카드 사용액 등 모든 소득공제 자료가 자동으로 수집되어 최대 연 500만 원까지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특히 60세 이상 부모님의 의료비와 20세 이하 자녀의 교육비는 전액 공제되며, 장애인 부양가족의 경우 연령 제한 없이 추가 150만 원 공제가 가능합니다. 등록하지 않으면 이 모든 혜택을 놓치게 됩니다.



실수하면 탈락하는 주의사항
부양가족 등록 시 가장 많이 실수하는 부분들을 미리 확인하고 준비하면 한 번에 성공할 수 있습니다. 특히 주민등록번호 오입력과 관계 선택 실수가 가장 많으니 주의하세요.
- 부양가족의 연간 소득이 100만원 이하(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500만원 이하)인지 반드시 확인
- 주민등록번호 입력 시 하이픈(-) 제외하고 13자리 숫자만 입력
- 등록 후 3일간 자료수집 기간이므로 즉시 조회되지 않는 것은 정상
부양가족 소득공제 한도표
부양가족별 소득공제 한도와 요건을 정확히 파악하면 최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아래 표를 참고하여 우리 가족에게 적용되는 공제 한도를 확인하세요.
| 부양가족 구분 | 인적공제 한도 | 추가공제 조건 |
|---|---|---|
| 배우자 | 연 150만원 | 소득 100만원 이하 |
| 직계존속(부모) | 연 150만원 | 60세 이상, 소득 100만원 이하 |
| 직계비속(자녀) | 연 150만원 | 20세 이하, 소득 100만원 이하 |
| 장애인 가족 | 연 300만원 | 연령 무관, 추가 150만원 |


